|  | | ⓒ 고성신문 | |
고성군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항공산업 추진계획에서 무인항공기 사업 선점을 우선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고성군 후보지 지역에서 초경량비행장치는 고도 500 트, 경량항공기는 고도 3천피트 미만으로 운영할 경우 주변 관제권, 비행제한구역, 군훈련공역 등에 저촉되지 않는다.
그러나 고도 3천피트(915m) 이상 운영 시 공군훈련비행단의 허가가 필요하며 군이 제3훈련비행단 운항관제대장 면담 결과 현실적으로 공역사용이 불가한 입장으로 공모사업 주체인 국토부 차원에서 협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군은 기존 Air-Park 대상지에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공역협의, 송전탑 저촉으로 이설해야 하는 등 경제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라며 미래 항공관련 틈새시장이며 전망있는 투자사업인 무인항공기 상용화와 관련해 무인항공기 활주로 및 MRO(항공정비산업)센터 조성을 통한 무인항공기 사업 선점으로 차별화 추진이 요구되고 있다고 했다.
지난 5월 6일 제3차 규제개혁 장관회의에서 ‘융합 신산업 창출을 위한 규제개혁 추진방향’ 중 연내 ‘무인항공기 시범특구’ 지정하겠다는 계획이 발표됐다. 고성군은 지정 시 참여해 시범특구 지정을 통한 무인기 전용주파수를 할당받고 전용공역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군은 전남의 고흥이 운영하고 있으나 사업체가 경남에 많아 어려움이 있어 경남의 유일한 적합지인 고성군이 선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시범특구 지정을 위한 경남도(국가산단추진단)와 공동유치를 위한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군은 하반기 제도화 되면 지정을 받아 무인기 활주로를 포함한 무인항공기 센터를 조성하고 대한항공을 모기업으로 무인항공기 관련 기업체를 유치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군은 무인항공기 후보지로는 당동~배둔지역이 적합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최정운 항공산업경제과장은 대한항공 김해 테크센터 관계자와 현장 검토를 통해 가능한 것으로 검토됐다고 밝혔다. 군은 이 같은 내용의 추진 계획을 지난 19일 고성군의회 의원월례회에서 보고했다. 박용삼 의원은 “무인항공기 후보지에는 마을이 인근에 있는데 소음 등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최을석 의장도 “항공산업 추진에 있어 군민들에게 실익이 있을 수 있도록 판단을 잘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무인항공기 센터는 무인기활주로(700m×30m), 시험비행, 제조, MRO 등이 조성된다. 소형항공기 Air-Park 활주로 조성은 1천200m×30m, 항공산업단지 조성은 15만㎡~33만㎡로 계획되어 있다. 군은 2011년 경비행장 개발계획에 공모 국토부로부터 선정됐다. 2014년 지방중기재정계획에 반영됐고 대한항공 무인기 유치를 위한 협의가 추진됐다. 지난해에는 타당성조사 용역을 시행 중이었으나 군은 지난해 6월부터 무인기 시범특구 공모 신청일까지 용역을 일시 정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