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교사 10명 중 8명이 경남도교육청의 무상급식 입장을 지지하고, 역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은 학교업무 경감으로 꼽았다.
전교조 경남지부(지부장 송기)는 지난달 23일부터 29일까지 도내 교사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경남교육 정책에 관한 설문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0%) 결과를 1일 발표했다.
교직원총연합회 282명, 전국교직원노동조합 279명, 한국교원노동조합 6명, 무소속 464명, 기타 교원단체 7명 등 1천49명이 참여했다.
박 교육감의 주요 교육정책에 대해 행복학교는 만족했고 교사 행정업무 감축은 불만을 표시했다.
‘행복학교’ 운영에 대해 37.72%(393명)가 만족했고, 매우 만족은 14.88%(155명)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37.62%(392명), 10%는 (102명)은 불만스럽다고 응답했다.
반면, 교사 행정업무 감축에는 35.09%(365명)가 불만 또는 매우 불만을 나타냈다. 보통은 32.12%(334명), 만족과 매우 만족은 32.79%(341명)였다.
도교육청의 차별없는 무상급식 확대 정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1.95%(858명)가 동의 또는 적극 동의해 10명 중 8명이 동의했다. 보통은 8.4%(88명), 불만과 매우 불만은 7.73%(81명)였다.
부정부패와 학교비리 척결은 71.36%(745명)이 만족스럽다는 입장을 보였다.
앞으로 추진해야 할 역점 정책으로는 불필요한 공문 축소(75.60%), 친환경 무상급식 학습준비물 지원 등 보편적 교육복지 정책(8.23%), 학교 민주주의와 교사회 학생회 학부모회 등 활성화 정책(6.51%)을 꼽았다.
‘경남교육 발전의 가장 큰 장애’ 요인은 과중한 학교업무가 가장 많았고 교육지역지원청의 관료적 행정업무처리, 학교 관리자의 독선적인 학교 운영 순이었다.
전교조 경남지부 관계자는 “보편적 무상급식을 확대하기 위한 도교육청 노력이 교사들에게 동의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면서 “그러나 과제로는 교사의 업무경감 정책 등 비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