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계속적으로 거론되어 오던 군민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행복택시를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12일 고성군의회 본회의 4분 자유발언에서 최상림 원은 농어촌버스 미운행 마을과 오지마을 주민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행복택시 운행을 제안했다.
최 의원은 “농어촌버스가 들어오지 않거나 벽지인 경우 너무나 열악하다. 오지마을에서 버스노선 승강장까지 몇 km를 걸어서 나오기도 한다”며 “하루 2회 정도 적은 운행 횟수와 시간도 문제지만 그나마 있는 시외버스 노선도 적자를 이유로 노선이 폐지되고 있고 향후 더욱 늘어날 것은 자명한 현실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서울에 사는 65세 이상 어르신은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한다는 현실을초고령인 우리군 지역주민들과 비교한다면 교통복지 실현과 주민 이동권 보장을 위하여 고성군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 기본적인 해답이 나온다”고 강조했다. 최상림 의원은 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 행복택시 운영을 촉구한 바 있다. 실제 영오면과 개천면은 학생들이 진주권으로 통학을 하는데 매일 학부모들이 등하교를 시키고 있는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4지방선거에서 모 군수 후보자가 군민무상버스 추진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고성군 관계자는 “함양, 산청 등 실시하고 있는 시군의 행복택시 자료를 받아 검토하고 있으며 벤치마킹을 계획하고 있다”고 했다.
경남은 밀양, 사천시와 산청 의령 하동 거창 합천 함양군 등 8개 시군에서 운영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경북, 충남, 경기, 전북이 경남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시행 중이다. 기초지자체별 지원 예산은 3천만원에서 1억원 정도이며, 수혜 주민은 3~31개 마을에 80~1천명에 이른다. 이 제도의 명칭도 행복택시, 희망택시, 한방택시, 마을택시, 부르미택시 등 각 지자체의 염원을 담아 다양하게 불리어지고 있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지자체별 조례를 제정해 운영한다. 이용요금은 인당 1천원 혹은 대당 100원에서 1천200원 정도로 책정되어 있다.
5개 시군은 자체사업으로, 의령 합천 함양은 농림축산식품부 주관 농촌형 교통모델 발굴사업으로 국비를 지원받고 있다. 창녕군도 행복택시사업을 검토 중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