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고성군지부(지부장 곽쾌영 이하 공노조)은 지난 6일 홈페이지에 ‘엑스포 행사기간 연장 논의 단호히 반대한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 해 엑스포 행사기간 연장에 대한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공노조는 고성군수가 지난 엑스포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면 저비용 경제적인 엑스포 개최가 가능하다고 결론내리고 2016년 공룡엑스포의 개최를 공식화 했다며 약속을 쉽게 뒤바뀌는 것은 신뢰의 문제라고 포문을 열었다.
지난 세 차례의 엑스포에서 가장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된 것은 예매표 강매와 장기간 무리한 인원동원에 따른 행정공백이었다며 3월 12일 수립한 2016년 공룡엑스포 기본계획안에는 군민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사전예매가격으로 입장권 구입을 신규도입하고 73일의 행사기간을 52일로 축소하는 등 이러한 문제에 대해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고 했다.
공노조는 행정이 핵심을 비켜갔다고 비난했다. 표 강매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공무원을 동원한 부서별 개인별 실적 매기기와 압박이었다며 이런 식의 강매는 관련 업체와 군민, 향우로 이어지는 2중 3중의 밀어내기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졌다고 했다. 공노조는 이번 계획안에서 이런 중대한 문제점에 대한 고민이 없다며 유감을 표했다. 공노조는 그나마 기간을 축소한 것은 환영받을 결정이었으나 불과 한 달여 만에 행사기간 연장을 검토하겠다고 한다며 비난했다. 조직위가 21일의 기간이 늘면 약 11억원의 사업비가 추가 투입되는 반면 수입은 20억8천만원이 늘어 연장 추진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하는데 아전인수식 해석이며 견강부회의 억지논리라고 주장했다.
공노조는 그러한 수치의 근거가 무엇이며 73일이라는 장기간의 행사가 과연 고성군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인지 의문이라고 했다. 아울러 그런 수치의 이면에 지난 3차례의 엑스포보다 나은 실적을 내야 한다는 조급증이 묻어나 우려스럽다고 했다. 공노조는 지난 엑스포는 예매표 강매로 공무원과 군민들이 엄청난 고통을 감수해야 했고 공무원이 나서서 거래업체에 표 구입을 강요하는 등 부정부패를 조장했고 사업비를 우회적으로 지원하여 수익을 과다계상하고 성공한 엑스포로 포장하기 위해 입장객 수를 과도하게 부풀리는 등 편법이 난무한 엑스포였다고 했다. 그럼에도 지난 엑스포의 허황된 실적에 견주어 2016년 엑스포를 준비하려는 것은 다시 한번 고성군을 격랑 속으로 빠뜨리는 결과가 될 것임이 자명하다고 했다.
공노조는 얼마 전 엑스포조직위측에 공직사회의 우려와 현재 추진되고 있는 엑스포 기간 연장 반대의 뜻을 전달했고 공무원 동원 예매권 강매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힐 것을 요구했다고 했다. 공노조는 고성군수에게 약속의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허황한 과거의 실적에 근거한 수익논리에 목매는 엑스포가 또 다시 추진된다면 그 결정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묻겠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아울러 막대한 군민의 혈세가 투입된 당항포관광지를 어떻게 고성군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가꾸어 나갈지 고민하는 대 군민 난상토론을 제안했다.
한편 공노조의 엑스포 행사기간 연장에 대한 강력한 반발이 일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행사기간 연장에 대한 군민들의 공감대 형성이 부족했다는 목소리가 높다. 엑스포조직위는 엑스포 조직위 이사들에게 서면 동의를 구해 과반수 이상 찬성이 되었으나 일부 이사들은 반대 의사를 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나 이러한 중요한 사안에 대해 이사회를 열어 토론을 거쳐야 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