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에서 매수·기부행위가 가장 많이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최근 선거관리보 71호 ‘담음’을 통해 제1회전국동시조 장선거 결과를 공개했다. 올해 처음으로 실시된 전국동시조합장선거는 선거인수 229만7천75명 중 184만3천283명이 투표에 참여해 투표율이 80.2%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표결과 조합별 당선자 수는 농협이 1천115곳, 산림조합 129곳, 수협 82곳 등이었으며, 이중 무투표 당선자수는 농협 153곳, 산림조합 36곳, 수협 15곳이었다. 당선자 1천326명 중에는 단 5명만 여성조합장으로 당선됐으며, 연령대는 50대가 666명(52.2%)로 가장 많았다. 특히 이번 선거에서는 1천326곳의 조합 중 고발 160곳, 수사의뢰 53곳, 경고 606곳 등 선거법을 위반한 사례가 많이 나타는 등 혼탁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위반유형에는 매수·기부행위가 322건(39.3%)로 가장 많았으며, 문자메시지 이용 134건(16.4%), 인쇄물 배부(13.2%), 허위사실공표·비방 44건(5.4%) 등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조합원 대상 여론조사 결과 이번 선거가 과거 조합장 선거와 비교했을 때 분위기가 투명했다는 여론이 70.8%로 가장 많았으며, 혼탁했다는 여론도 8.8%를 차지했다. 선거에 대해 깨끗했다고 평가한 조합원들은 ‘조합원의 선거의식 향상’의 이유를 들었으며, 혼탁하다고 평가한 조합원은 ‘후보자의 돈 선거 증가’의 이유를 들었다. 일부에서는 이번 선거가 높은 투표율만큼 국민적 관심을 끄는 데는 성공해지만 그 내용면에서는 실패한 선거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우선 선거운동에 대한 지나친 규제 탓에 조합원들이 후보들의 정책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후보자들은 직접 명함을 배부하거나 전화로 지지를 호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만 허용됐기 때문에 선거는 결국 인맥 위주의 선거, 인지도 위주의 선거로 진행이 됐다. 그 결과 현역조합장이 현역 프리미엄을 누렸고 후보자들의 공약도 제대로 알 수 없어 선거운동에 대한 지나친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중앙선관위는 처음으로 실시한 전국단위 동시조합장선거였던 만큼 후보자 정보제공기회 확대, 선거운동방법 개선 등 일부문제점에 대해서는 조합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제도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선거관리보를 통해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