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 무상급식 지키기 운동 확산 4월 유상급식 통지서가 각 가정에 전달되면서 학부모들의 무상급식 지키기를 한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주민소환 및 무상급식 지키기를 위한 학부모들은 밴드를 조직해 1천명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지금까지 681명이 가입했다. 단일밴드로서는 고성에서 최대 인원이며 자발적인 참여에 감사 드린다. 지난 15일 고성초등학교 중앙고등학교 거류초등학교 고성동중학교 고성중학교 동광초등학교 등 관내 학교 정문 앞에서 무상급식 지키기 캠페인을 벌였다. 오는 18일에는 무상급식을 지키기 위한 한마음 대행진을 열 계획이다.
# 학부모, 사회단체 통합 친환경무상급식지키기 고성운동본부 결성 학부모들은 무상급식은 원칙적으로 계속 되어야 하며 의무급식을 중단해서는 안된다는 의지로 논리적인 대응을 해 왔다. 4월 통지서를 받고 피부로 느껴 학부모들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을 깨달았다. 학부모가 중심이 된 학교운영위원회와 고성군사회단체의 친환경무상급식지키기 사회단체대책위원회가 통합되어 친환경무상급식지키기 고성운동본부가 결성되었다. 이런 사례는 모범적 사례로 다른 시군에서 벤치마킹을 하고 있다. 학부모가 모이는 이유는 정치적인 의미는 없다. 선별적 복지니 보편적 복지니 하는 정치에는 관심이 없다. 단지 정치적인 논리로 아이들의 급식을 끊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경남만 유일하게 무상급식이 되지 않고 있는데 경남도민들이 세금을 내면서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 무상급식을 해야 하는 이유 예산이 없으면 학부모와 교육청과 의논을 해야 하는 것이지 일방적 통보를 했다. 무상급식 예산을 다른 곳에 사용하면서 예산이 없다고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 중앙에서 급식비로 내려 온 예산을 도지사가 서민자녀교육비 지원이라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서민자녀 지원은 이미 지자체와 교육청에서 하고 있는데 중복지원이다.
애꿎은 학부모들은 월급은 오르지도 않는데 급식비 부담으로 더욱 살림살이는 허리띠를 졸라 매야 한다. 국가나 지자체는 아이를 많이 낳아라 해 놓고 이제는 나 몰라라 식이다. 학부모들이 유상급식으로 인해 자기 생활을 잃고 무상급식 지키기에 나서는 것을 보면 안타깝다.
무상급식이 시행되어야 친환경 농산물 소비가 이뤄진다. 유상급식이 되면 학부모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가격을 낮추게 되면 친환경 농산물을 사용할 수 없어 음식의 질은 떨어진다. 학생들에게 손해가 고스란히 돌아가고 농어민들의 피해가 커진다. 도시락을 싸는 학교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결국 급식종사자의 실업이 생길 우려도 있다.
# 무상급식을 의무급식으로 무상급식 지키기를 위한 운동은 국회에까지 가져 갈 예정이다. 중앙에 무상급식을 의무교육으로 넣어달라고 요청할 것이다. 이 상태라면 누가 도지사가 되는냐에 따라 급식의 문제는 계속 되풀이 될 것이다. 경남 도지사는 경남도민을 위해야 하는데 지지자를 배신하고 버젓이 공약을 어기며 말바꾸기를 하고 있다. 도지사는 도민들과 학부모에게 사과하고 차별없는 무상급식 예산 편성을 촉구한다. 친환경무상급식지키기 고성운동본부는 우리 아이들이 정치적 상황에 휘둘리지 않고 깨끗하고 질 좋은 급식을 무상으로 받기 위한 운동을 계속해 나가겠다. 군민 여러분의 관심과 많은 참여를 부탁 드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