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군농업인단체협의회(회장 손상재)는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는 무상급식을 국가에서 법적으로 의무화해 줄 것을 건의했다. 지난 3일 고성군농업인단체협의 회는 고성군농어업인회관에서 이군현 국회의원과 간담회를 갖고 농정현안 국회건의서를 전달했다. 이날 농업인단체는 건의서를 통해 △공공비축(톤백수매)용 창고지원 △무상급식지원 입법화 △무역 이득공유제 도입 △축산농가 폐업 및 전업 국비지원금 마련 등을 건의했다.
농업인단체는 “지난해 고성군은 공공비축미 수매를 경남에서 최고 많은 37만가마를 수매해 농업인의 어려운 현실을 조금이나마 해소하는데 도움이 됐고 한·중 FTA체결에도 별 무리 없이 넘어 갔다”며 “하지만 당장 당면한 현실은 한치 앞이 보이질 않고 고성군을 볼 때 농협창고 새마을창고 등 창고라고 할 만한 곳은 지난해 수매된 벼들이 가득 쌓여 있어 올해 생산되는 벼는 어떻게 보관할 것인지 걱정이다”고 말했다. 이들은 “쌀을 많이 쓰는 업체는 인센티브를 주거나 쌀 소비촉진 운동을 대대적으로 해야 한다”며 “공공비축용 전용창고도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또 “뜨거운 감자로 이슈가 되고 있는 무상급식을 국회에서 입법화해 의무급식이 될 수 있도록 이군현 새누리당 사무총장이 큰 힘이 되어 줄 것”을 요구했다. 농업인단체는 “FTA로 인해 이익이 발생하는 산업도 있지만 또 피해를 보는 산업도 있다. 산업의 형평성을 고려해 이익을 보는 일정 부분을 공유해야 한다”며 “국회 계류 중인 무역 이득공유제를 국민의 동반성장과 공통된 행복을 위해 빠른 시일에 통과될 수 있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이밖에도 “AI 발생으로 양계 및 오리농장에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또한 예방적 살처분으로 인근 농가까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양계 및 오리농장을 폐업 또는 전업을 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다 보니 자력으로는 무리가 있어 일부 국비지원이 된다면 축산농가가 회생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건의했다. 이군현 국회의원은 고성군농업인단체협의회의 농정현안 국회건의서를 받고 농민들과 힘을 모아 문제해결을 위해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