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생활폐기물 소각장 광역화 방침에 따라 고성군과 통영시는 소각시설 광역화사업 추진하고 있지만 통영시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고성군과 통영시는 지난해부터 소각시설 광역화사업을 두고 여러 차례 협의를 통해 사업대상지를 통영시 명정동 현 매립장 내에 시설을 증설해 운영하는 방안으로 기본방향을 잡아왔다. 하지만 통영시 주민들과 의회에서도 통영시에 기피시설이 들어오는 것에 반대하고 나선 가운데 아직까지 협의점을 찾지 못해 올해 사업추진에도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내달부터 사업비를 확보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지만 아직까지 통영시 주민들의 동의를 얻지 못해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오는 9월까지 통영시 주민들의 동의를 구하는 것으로 계획은 하고 있지만 워낙 주민반대가 심해 동의를 얻지 못할 경우 사업기간 연장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통영시는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내구연한이 2018년으로 되어 있어 대체시설 확보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고성·통영 소각시설 광역화에 따른 당위성과 시민들의 공감을 얻고자 사업의 취지 설명회를 10여차례 실시해 왔다. 그러나 통영시 주민들은 기피시설이 통영시에 들어선다는 것 자체가 못마땅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사업이 어떻게 추진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편 고성·통영 소각시설 광역화사업은 지난해 1차 타당성조사결과 사업비가 약 402억5천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조사됐다. 총사업비 중 기존 부지 내 매립폐기물 안정화사업비 9억2천만원(전액 지방비), 소각시설 373억원(국비 50%, 지방비 50%), 음식물 및 하수슬러지건조시설 20억3천만원(국비 30%, 지방비 70%)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방비 209억9천만원은 폐기물 발생량에 따라 고성군이 33억7천만원, 통영시가 176억2천만원을 부담하는 것으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고성·통영소각시설에는 1일 120톤을 소각할 수 있는 소각시설과 1일 50톤의 음식물을 건조할 수 있는 음식건조시설, 1일 25톤이 처리 가능한 하수슬러지 건조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