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군은 지난 26일 군청 중회의실에서 고성군 인구증가 종합대책 보고회가 열었다. 하학열 군수를 비롯해 이채건 부군수, 각 사업실과소 담당자, 읍면장 등이 석해 각 실과소와 읍면별 인구증가 시책에 대해 보고했다.
이날 보고회는 고성군의 인구가 고령화로 인한 자연 감소 요인을 제외하더라도 전출인구의 증가로 인한 인구감소가 심각하여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고회에서 출산장려시책과 전입세대 및 다자녀세대 지원시책을 비롯한 현재 추진 중인 시책과 신규 시책을 포함한 총 60건의 다양한 시책이 보고됐다.
신규 시책으로 △기업체 근로자 주소이전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방안 △민간ㆍ가정 어린이집 보육료 부모부담금 지원에 따른 무상보육 실현 △전입세대 쓰레기 배출지원 △귀농ㆍ귀촌 지원사업의 확대 검토 △임산부 구강관리교실 운영 등의 인구 유입방안이 논의됐다. 특히 고성군에 거주를 하고 있으나 주소를 이전하지 않은 기관단체 임직원, 기업체 임직원, 복지시설 종사자 및 입소자 등에 대해 ‘고성군 주소갖기 운동’을 강력히 추진하기로 했다.
하학열 군수는 “공무원이 먼저 솔선수범하여 관내 주소를 두고 거주할 수 있어야 한다”며 “실효성 없는 정책을 과감히 폐기하고 새로운 시책 개발 및 인구증가 시책 추진에 더욱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고성군은 2015년 인구증가 목표를 2014년 12월말 5만5천916명 대비 약 2%가 증가한 5만7천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군은 인구가 지방자치단체의 경쟁력과 직결되므로 설정된 목표 달성에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2014년 대비 2015년 2월 기준 5만5천628명으로 두달새 288명이 감소했다. 출생이 55명으로 사망은 107명으로 52명이 더 많았다. 전입은 748명이며 전출은 984명으로 236명이 더 많았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 동안 2010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입이 많아 인구는 증가 추세였다. 그러나 2012년부터 전출이 전입보다 많아 인구는 계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