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AI 오염된 똥 1g은 100만 마리 닭 감염시킬 수 있어
AI 확산 막는 데는 현재 살처분하는 방법만이 최선
AI 방역망이 뚫리면서 고성지역의 가금류 사육농가에서는 AI 여파로 어느 때보다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거류면 은월리 한 오리 농장에서 지난 23일 AI확진 되면서 23일과 24일 해당농장은 물론 같은 계열사에서 입식한 마암면 3개 농장까지 새끼오리와 다 큰 오리 출하 차량, 사료 차량이 오간 것이 확인돼 약 5만2천여마리가 넘는 육용오리가 살처분 됐다. 또한 AI확산방지를 위해 발생 농장의 반경 10㎞ 이내 농장에서 사육하는 닭·오리 등 27만여 마리의 이동 제한 조치가 내려졌다. AI 여파로 내달 3일 예정되었던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순방도 무기한 연장되고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각종 행사가 취소되는 등 고성군 전체가 비상이다.
# 상상초월 AI 전염성과 위험성
농림축산검역본부는 AI에 오염된 똥 1g은 100만 마리 닭을 감염시킬 수 있는 만큼 전염성과 위험성은 엄청나다고 밝혔다. 현재 도내 18개 시·군에는 6천300여 농가에서 닭 1천440만 마리, 370여 농가에서 오리 115만 마리를 키우고 있지만 AI 확산에는 경계가 없어 방역과 차단막이 뚫리면 걷잡을 수 없이 급속히 퍼져 손실이 클 수밖에 없다. 고성에 AI 발생농가의 오리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안락사 시키고 죽은 오리를 마대에 담아 땅에 묻은 30톤 용량의 플라스틱 통 2개를 넣어졌다. 살처분된 오리는 플라스틱 통의 고온 속에서 부패과정을 거쳐 6개월 후 검사에서 바이러스가 없으면 퇴비 등으로 폐기처리된다. 방역당국은 급속하게 퍼지는 AI의 특성 때문에 AI 확산을 막는 데는 지금 현재로써는 살처분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한다.
경남도 축산진흥연구소 관계자는 “고병원성 AI가 발병하면 유전자 변이도 빨라 백신 효과가 떨어져 닭은 100% 폐사한다”면서 “AI는 전파 속도도 빨라서 살처분이 더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경남도는 죽은 닭이나 오리, 돼지를 고압과 수증기로 쪄서 열처리하는 장비를 보유하고 있지만 처리용량이 작아 고성처럼 규모가 큰 농장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태우는 것이지만 이동과정에 전염될 수도 있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대부분 나라에서 살처분 정책을 펴고 있다. AI 발생 농가에서 30일 지날 때까지 확산 징후가 없어야 이동제한이 풀리지만 문제는 최근 발생하는 AI는 겨울철과 상관없이 연중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가금류 사육농가 망연자실
“살처분 보상은 회사 몫이고 농장주에게 보상금이 돌아온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AI 발생 농장을 비롯한 예방차원에서 살처분된 오리농장까지 농장주들은 피해가 막심하다. 농장주들은 한 회사에서 위탁을 받아 오리를 입식해 키운 후 같은 회사에 납품하는 하는 형태로 수익을 올려 생계를 이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AI가 발생되면서 정성들여 키우던 오리가 모두 살처분되면서 보상금은 모두 회사로 돌아갈 것으로 보여 농장주들은 앞으로 생계를 어떻게 이어가야 할지 막막한 실정이다. 한 오리농장 관계자는 “고성군에서 오리를 사육하는 농장은 대부분 회사의 위탁을 받아 오리를 키운 후 납품하는 형식으로 농장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AI로 인해 살처분이 되면 보상금은 모두 회사의 몫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보상금이 얼마로 책정될지는 모르겠지만 회사에서 받은 보상금을 농장주에게도 나눠줄지 의문”이라면서 “향후 몇 개월간은 입식도 하지 못해 앞으로 생계를 어떻게 이어가야 할지 막막한 실정”이라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이들 뿐만 아니라 고성에서 닭·오리 등을 사육하는 농장주도 근심걱정이 가득하다. 방역당국이 AI확산방지를 위해 발생 농장의 반경 10㎞ 이내 농장에서 사육하는 닭·오리 등 27만여 마리의 이동제한조치 명령이 내려졌기 때문이다. 한 육계농장주는 “당장 입식과 출하를 해야 되는데 AI로 인해 닭의 이동제한조치가 걸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현재 한달 정도의 주기로 입출하를 하고 있는데 이동제한조치 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농가의 손실은 엄청날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그러나 방역당국은 닭·오리 등 가금류의 이동제한조치를 적어도 30일에서 40일까지는 이동제한이 풀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어 가금류 사육농가의 피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