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동 거류면에 대단위 아파트가 들어서는 가운데 하수처리장 시설이 시급한 실정이다.
거류면 하수처리시설 건립부지가 신용리 1333번지 일원에 최종 확정됨에 따라 부지매입을 추진하고 보상까지 해 왔다.
군은 거류면 당동리에 외부 인구 유입이 증가할 것으로 보고 총 사업비 116억원을 들여 하루 1천600톤 처리 규모의 하수처리시설을 건립할 계획이다.
특히 당동이 안정공단과 동해조선특구단지 조성에 따른 배후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하수처리장 설치가 급선무이다.
그러나 수차례 걸쳐 장소 선정을 놓고 주민들간의 의견차이를 보인 가운데 올해 이곳 신용리 신은마을을 확정했었다.
그러나 이곳 신은마을 주민들의 반대로 제동이 걸려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비해 군은 거류하수처리장을 이곳 신용리에 건립키로 하고 현재 도시계획심의, 법적절차를 밟고 있는 상태다.
이와 함께 지난해 7월 용동마을주민이 경북 영덕군 하수처리시설 견학을 다녀왔다. 용동마을주민은 하수처리장 설치를 반대하며 법적 소송을 하는 등 진통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하수처리장 조성사업이 상당기간 지연되면서 당초 하수처리구역에 포함된 문화마을과 안정공단 사원아파트, 새평지아파트, 라인아파트 등의 하수 처리에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올 10월 완공될 새평지아파트는 총 8동으로 421세대가 입주할 예정으로 자체 오폐수처리장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라인아파트의 경우도 자체 하수처리시설이 돼 있지만 인근 주변 식당가나 주택에서 내보내는 생활 오폐수로 인해 당동만 오염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상하수도 관계자는 “하수처리장이 들어서면 주민 생활환경 개선은 물론, 당동, 동해만 해역의 부영양화 예방으로 적조를 줄이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거류하수종말처리장이 빨리 들어서야 안정공단 배후도시로 당동이 아파트단지가 들어서 인구유입도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행정당국과 이해주민들은 “지역발전을 위한 대승적 견지에서 양당사자 간의 주장을 배려하고 이해하여 좋은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는 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