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  | | ⓒ 고성신문 | |
고성군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3호인 구상덕 ̒승총명록(勝聰明錄)̓ 2차분 번역을 완료했다. 군은 총 5권 중 1권부터 3권까지 1차 번역을 지난해 8월부터 시작해 올 2월에 마치고, 4권부터 5권까지의 번역과 5권 전체에 대한 원문교감․표점 작업까지 모두 완료했다.
승총명록은 거류면에 거주했던 월봉(月峯) 구상덕(仇尙德, 1706~1761)이 20세 되던 1725년(영조1년)부터 1761년(영조37년)까지 37년간 쓴 생활일기로, 당시 농업실태와 물가상황, 과거 준비와 응시, 향교 관련 사항, 지방 행정과 관련된 송사 등 생활사 전반에 대해 상세하고도 생생한 상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 18세기 고성 및 인근지역 향촌지식인의 생활과 의식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199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의 전신)이 영인본을 발간하면서 학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해, 2006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 이어 관련 연구자들의 연구논문을 묶은 ‘승총명록으로 보는 조선후기 향촌 지식인의 생활사’(2010, 한국학중앙연구원)가 출판되는 등 세부적인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이에 소장자인 구석찬 등 구씨 문중이 지난 2011년 고성박물관에 기증한 것을 계기로 고성군은 8천400만원(도비 4천200만원, 군비 4천200만원)의 사업비를 확보해 번역사업을 추진해 왔다. 구대준 문화관광체육과장은 “승총명록에 실린 다양하고 중요한 기초자료들을 학계와 대중들이 널리 이용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본을 기초로 대중 출판 작업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