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8조원 이상이 투입되는 지역행복생활권의 사업추진을 위해 경남을 5개 생활권으로 나누는 도내 ‘지역행복생활권’ 구성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근혜 정부 지역발전정책의 핵심사업인 지역행복생활권사업은 생활권별(2~4개 인근 시·군으로 구성)로 지역자원의 공동 활용, 지역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정책사업이다. 국민행복과 직결되는 생활서비스를 전국 어디서나 불편함 없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뒀다.
지역발전위원회 등 중앙정부는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지역행복생활권 사업에 8조1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올해는 650억원의 선도사업 사업비를 집행한다.
이번에 경남도가 발표한 생활권 구성(안)은 진주·사천·남해·하동, 창원·김해·함안군을 중추도시생활권으로, 통영·거제·고성군을 도농연계생활권, 산청·함양·거창과 합천·의령·창녕·밀양을 농어촌생활권으로 구성하는 등 경남을 5개의 생활권으로 나누고 있다.
△서부 중추도시생활권(진주·사천·남해·하동)=교육 문화 주거 의료 등 권역 내 삶의 질을 높이고 항공산업 육성, 문화관광 경쟁력 강화 등 지역발전 전략을 통해 서부권의 중추기능을 강화한다.
△동부 중추도시생활권(창원·김해·함안)=창원산단 구조고도화사업, 함안의 산업단지 조성, 김해의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 등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여건을 마련한다.
△도농연계생활권(통영·거제·고성)=해안도시의 특성을 공유한 관광벨트 형성과 조선 해양플랜트산업 육성 등을 통해 지역의 경쟁력을 높인다.
△서북부 농어촌생활권(산청·함양·거창)=거함산의 지리적 공통성을 고려하여 지리산 등 산악자원의 공유를 통한 한방산업, 항노화산업, 힐링산업 등 연계산업을 육성한다.
△동북부 농어촌생활권(합천·의령·창녕·밀양)=생태·역사자원이 풍부한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문화관광 연계사업의 발굴과 나노 등 첨단산업을 육성 발전시켜 나간다.
도내 시·군 중 양산시는 시의 자율적인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면서 부·울·경 지역의 특수성에 입각하여 부산, 울산 등 중추도시권과 연계한 생활권을 구성했다. 합천군은 대구중추도시생활권에 포함시켰다.
경남도가 마련한 생활권 구성(안)은 지역발전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