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12일부터 이틀간 해당지역 주민설명회 열려
낙동강수계의 수질보전을 위한 수질오염총량관리제가 오는 8월부터 시행된다.
오염총량관리제란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하천 유역별로 목표 수질을 설정하고, 해당 지역의 오염물질 배출량을 목표수질에 맞게 관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고성에서는 영현면, 영오면, 개천면, 대가면 등 영천강 상류지역에 해당하는 4개 면에서 8월 1일부터 관리제를 시행하게 된다.
군은 시행계획 수립 최종보고회에 앞서 지난 12일부터 이틀간 오염총량관리제의 시행지역 네 개 면사무소에서 해당지역 주민대표를 초청해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관리제의 시행계획 수립 용역을 담당한 경상대 환경 및 지역발전연구소 김종오 교수가 오염총량관리제의 개요와 군의 총량관리 시행계획을 설명했다.
제1차 총량관리 계획 기간은 8월 1일부터 2010년 12월까지로 이 기간 시행지역의 오염물질 배출은 하루 1천922kg 이하로 관리하게 된다.
김종오 교수팀의 조사에 따르면 관리제 시행지역의 오염물질 배출량은 지난 2005년 하루 1천413kg에서 점차 증가해 2010년에는 하루 1천468kg 정도로 예상된다.
김 교수는 “오염물질 배출량이 목표치에 460kg 정도 여유가 있어 주민들의 일상생활과 축산업에 있어서는 큰 불편이나 제재가 취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관리제가 시행되는 지역은 앞으로 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공업단지의 입주 등에 있어서는 제약을 받게 된다.
환경과 관계자는 “새로운 오염원이 들어서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쾌적한 주변 환경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주민들은 “해당지역은 축산업에 종사하는 주민이 많아 인근 연화산 인터체인지를 활용한 농수축산물 가공 및 유통단지의 설립을 기대하고 있지만 관리제의 시행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