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현역의원 한계 넘지 못해
우리지역의 5.31 지방선거도 한나라당의 압승으로 막을 내렸다.
무소속 후보로 출마한 현역의원은 상리면 박태공, 마암면 정임식, 동해면 정호용 의원 3명.
그러나 이들 현역의원은 단 한 명도 의회에 입성하지 못해 처음 시행된 중선거구제 정당공천제의 희생양이 되고 말았다.
특히 3선에 도전한 박태공 후보는 지역 표심을 얻고 2위 자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제기됐으나 박근혜 대표 피습과 유권자수가 많은 지역세에 밀려 고배를 마셨다.
따라서 제5대 고성군의회 선거가 치러지면서 3선의원은 아직 단 한 명도 나오지 않는 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선거의 가장 치열한 선거는 경남도의회 제1선거구와 고성읍 선거구였다.
한나라당 정종수 후보는 재공천을 받아 뒤늦게 선거전에 뛰어 들어 악전고투 끝에 당선의 영광을 안았다.
김대겸 후보는 고성읍지역에는 고른 득표를 얻었으나 면 지역에서 밀려 지난 선거에 이어 아쉽게 낙선의 고배를 마셨다.
기초의회 고성읍 선거구는 혼전과 역전이 거듭되면서 선거당일까지 예측불허 상태에서 개표가 진행됐다.
고성읍 투표구 일부 지역에서 개표소식이 나오자 각 후보진영마다 초 긴장 상태가 계속됐다. 중반 이후 득표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면서 무소속 김홍식 후보의 당선으로 결정돼 희비가 엇갈렸다.
선거 초반 당선 1순위로 예측됐던 정도범 후보는 3번째 도전장을 냈으나 조직력의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참패하고 말았다는 분석이다. 정 후보는 2위로 당선된 김홍식 후보에 비해 지역별 조직책과 동문, 문중, 친구 등에서 열세를 보여 지역구도의 한계성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 후보들도 선전해 향후 고성지역의 정치구도 변화에 큰 영향을 가져 올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