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갈팡질팡하는 군행정 고성군의회 당초 약속대로 매각이나 공영주차장 요구 고성읍청사 활용을 놓고 지역주민간에 의견이 분분하다. 고성읍청사를 쌈지공원화하 여 읍민들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여론속에 매각하여 신청사 비용으로 충당하고 공용주차장으로 사용하는 방안 등이 거론됐다. 특히 고성읍청사의 신축공사 공정률이 70%정도 진척됨에 따라 현 고성읍사무소 부지를 공용주차장으로 사용하자는 의견이 제안되면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고성읍사무소는 고성읍 성내리 27번지 1천449㎡의 부지면적에 제1종 일반주거지역, 일반상업지역으로 23억8천여만원의 재산가액이다.
고성읍민 의견청취를 지난해 2월 22일 고성읍민 이장 새마을지도자 등 80명의 의견청취 결과 도심 속 공원인 쌈지공원으로 조성하자는 의견이 다수였다. 그리고 지난 1월 24일 고성군청 간부회의에서 쌈지공원으로 조성하자는 안과 공영주차장을 조성 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앞으로 군은 처리계획을 공영주차장을 조성하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신청사 이전 건립에 따른 지방재정 투융자 심사 시 매각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근 부동산 경기침체로 가격하락 우려와 문화재 구역으로 매각에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매각보다는 도심 속 주차난 해소를 위한 공영주차장 조성함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고성군은 군내 자동차 증가대수가 최근 3년간 평균을 보면 군 전체는 연간 650여대의 신규차량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주차장은 그에 따르지 못하고 협소한 실정이다.
고성읍 일원 상가가 밀집되어 있는 곳에 노면 주차장이 있기는 하지만 유동차량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고성읍은 470대 정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주차시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박태훈 의원은 “주차난 해소 방안은 맞다. 하지만 행정에서 의회와 사전 협의가 있었다면 다양한 방안이 있을 것이다. 읍사무소 뒤편까지 토지를 매입해 접근성을 높이는 방법, 주차타워 건립 등 군민들의 편의를 위한 방법을 서로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할 것”이라며 충분한 검토와 보강을 주문했다. 김홍식 의원은 “당초 집행부에서 지방재정 투융자 심사 시 매각하여 신청사 건립비용으로 충당한다 했다. 행정에서 일관성도 없이 이제 와 계획을 변경하면 되겠는가. 매각하여 자원을 조달하는 것이 맞다”고 충고했다.
김대겸 도의원도 지난 15일 정기방 부군수를 만나 읍사무소 청사는 읍민들의 주요 관심사라며 주민공청회를 거쳐 의견을 수렴해 줄 것을 요구했다. 이에 군 관계자는 이곳은 문화재구역으로 매수인이 쉽지 않을 뿐더러 최근 부동산 경기침체로 제값을 받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여 협소한 주차난 해소를 위해 추진하려 한다 며 공유재산 매각보다 주차장과 주민쉼터 조성이 군민들을 위해 더 바람직한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고성군과 고성군의회 의원들은 다수 주민들의 의견청취를 무시한채 일방적으로 공용주차장을 추진해 나간다는 반대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에 군은 오는 3월 27일 오전 10시 30분부터 군청 대회의실에서 ‘고성읍 청사활용 주민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번 군민공청회에서 제1안 군민휴식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쌈지공원 조성과 제2안 매각 후 대체재산조성비로 충당하는 안 제3안 공영유료주차장 조성 제4안 읍보건지소로 설치하는 안으로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
이같은 고성군의 방침에 대해 고성군의회는 당초 고성읍청사를 이전 때 부지를 매각하기로 했으나 문화재구역에 포함 매각이 어려워 공용유료주차장 조성으로 재검토키로 한 약속을 이행하라는 입장이다. 읍사무소 청사 부지 활용을 놓고 주민공청회에서 어떠한 결론이 나올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