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혐오시설 아닌 쾌적한 환경시설”
거류면 단위 하수처리장 건설을 두고 예정지 인근 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고성군은 거류면 단위 하수종말처리장을 거류면 신용리 1339번지 일대 8필지 9천400㎡ 부지에 건설하기로 지난해 12월 최종 결정했다.
이곳에는 110억원 가량의 사업비로 1일 1천600㎥의 처리시설을 갖춘 처리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하지만, 신용리 상원 마을 이장 김재문씨 등 70여명의 주민은 이에 반발해 지난 2001년 확정 고시된 처리장 터가 변경된 경위를 밝혀 줄 것을 요구하는 진정서를 지난달 창원지방검찰청 통영지청에 제출했다.
이들은 하수종말처리장 위치 최종 선정에 있어 주민들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채 군이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는 내용의 진정서를 제출했다.
또한 군이 지난 2001년 수 차례의 주민공청회까지 거쳐 당동리 122-2번지 외 10필지의 하수종말처리장 터를 결정했음에도, 고시 지정을 불과 몇 개월 앞두고 이 곳에 식품공장이 들어선 점에 대해서도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하수처리장은 지하에 설치되고 지상에는 관리를 위한 건물만 들어설 뿐으로 주민들이 우려하는 악취 등 공해유발 요인이 전혀 없다”며 하수처리장은 혐오시설이 아니라 생활하수의 정화를 통해 당동만의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등 지역 주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시설임을 이해해 달라고 밝혔다.
또 예정지 변경에 대해 “주민들이 하수처리장 설치에는 찬성하면서 정작 자신들의 마을에 설치하는 것은 반대하고 있어 수 차례 예정지 변경이 있었으며, 확정된 사업 예정지는 지난해 8월 개최된 거류면 발전위원회에서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 시설이 들어서면 송학리에 생태공원을 겸해 운영 중인 고성하수처리장과 같이 조경작업이 이뤄져 오히려 주변 환경이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용리 마을 주민들은 인근 지역의 하수처리장 건설 반대의 여론을 형성하기 위한 집회도 불사할 계획으로 있어 마찰이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