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하동군(군수 조유행) 갈사만에서 해양플랜트 유치를 놓고 긴장의 파고가 높이 일고 있다. 하동군과 부산시가 해양플랜트 메카자리를 놓고 생사를 건 한 판 승부를 이고 있기 때문이다. 하동군은 이미 3년 전부터 해양플랜트 핵심기술인 해양플랜트 폭발화재시험연구소를 유치하는 등 실질적인 주도권을 쥐고 보폭 큰 행보를 해 오고 있다. 그러나, 부산시가 뒤늦게 이 사업에 달려 들면서, 이를 업계에서는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으로 비유하고 있다. 하동군의 경우 부산대학교 선박해양플랜트 연구원과 혈맹관계를 유지하면서 정부 및 업계와 힘겨운 유치노력을 진행해 왔으나 부산시에서는 지역의 유력정치인과 재계를 활용 뒤늦게 광폭행보를 벌이고 있다. 하동군이 선점해 놓고 있는 해양플랜트 종합시험연구소는 해양플랜트 폭발·화재 시험기반 구축, 해양플랜트 Subsea 초고압 시험인증, 해양플랜트 Topside 고위험 사고실증을 통한 설계검증 기술개발 등 국내에서 절대 부족한 해양플랜트 관련 원천기술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경남도, 하동군, 부산대학교가 지식경제부의 지원을 받아 추진 중인 남해안권의 주요 국가정책 R/D 사업으로, 2009년 11월 연구소 설립을 위해 하동군과 부산대 그리고 영국 로이드선급 3자간 양해각서를 체결한 이후 2011년 5월 지식경제부로부터 산업기술연구기반 구축사업 최종사업자로 선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소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동군은 연구소 위치를 갈사만 조선산업단지를 지정해 올 6월말 부지 조성사업을 완료한 상태로, 올 5월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지난 8월경 연구소 조성 시설사업을 조달청에 입찰 의뢰해 놓은 상태다. 올 10월경 시공사가 선정되면 본격적으로 시설공사를 착수해 2014년까지 공사를 마무리하고 2015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용역이 시작될 예정이며, 조성사업에 소요되는 총사업비는 725억원 중 국비 448억원이 지원되고 지방비 166억원, 민자 111억원이 투자된다.
하동군은 해양플랜트 연구개발특구 지정을 받기 위해 정부 측에 다각도로 요구를 하면서도 추구하고 있는 해양플랜트의 메카로 실질적인 자리매김을 위해 그동안 구상해 왔던 플랜을 확고히 하고 하나둘씩 챙겨나간다는 복안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사항들은 오는 9월말 갈사만을 방문예정인 윤상직 지식경제부 1차관 방문 시 정부에 건의 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조유행 하동군수도 지난 10일 긴급간부회의를 열고 모든 것을 내려놓고 갈사만 성공을 위해 투신할 것임을 다짐하면서 “그동안 정치적 여건 변화에 따라 외부에서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나의 향후 행보에 대한 설왕설래가 있었으나 갈사만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임기 말까지 최선을 다해 일 하겠다”라고 강조하면서 700여 공직자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