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명품보육도시 건설을 위해서는 고성군민 절반이 보육료 지원정책이 현실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기, 적성에 맞는 특수학교 건립이 필 하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경남도는 인구, 고용, 환경, 사회, 교육 등 9개 부문, 39개 항목에 대해 도내 1만 가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설문조사한 조사결과 및 과거 3년 전 조사결과의 변화를 분석한 2011년도 경남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경남도의 기본항목에 고성군, 창원시, 거제시의 특성항목을 추가하고, 조사원의 면접조사와 인터넷조사를 함께 실시됐다. 고성군의 특성항목으로는 명품교육도시건설, 자녀의 타 지역 유학방지를 위한 정책, 고성공룡세계엑스포에 대한 견해, 고성군 조선산업특구에 대한 견해 등이 조사됐다.
명품교육도시 건설을 위해서는 48.8%가 보육료 지원정책 현실화가, 19.2%가 맞춤형 보육시설 확충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자녀 타 지역 유학방지에 대한 정책은 특기, 특성에 맞는 특수학교 건립이 35.5%, 명문대 진학률 고취프로그램 개발이 28.4%, 개인맞춤형 방과후 지원 프로그램 지원이 18.2%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글로벌인재양성 유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해서는 12.3%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고성공룡엑스포에 대한 견해로는 38.3%가 만족하며, 45.1%가 보통, 16.6%가 불만족스럽다는 의견이었다. 향후 운영방안으로는 기반시설확충이 29.8%, 셔틀버스운영으로 고성읍과의 연개사업이 21.4%, 특산물직거래 장터 운영이 18.1%의 순이었다. 조선산업특구 지정에 대해서는 54.7%가 긍정적이며, 33.2%가 보통, 12.1%가 부정적으로 견해를 밝혔다.
부문별 주요 조사결과를 보면 소득ㆍ소비 부문에서는 가구당 부채는 57.7%가 부채가 있으며, 부채의 이유는 49%가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인구 부문에서는 58.6%가 지역의 인구 규모는 지금보다 더 커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의 이유는 자녀 양육에 대한 질적 수준 및 부담의 증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을 경감해 줄 수 있는 제도를 추진해 줄 것을 41.8%가 원했다. 고용ㆍ노사 부문에서는 46.2%가 지역의 실업정도는 여전히 심각하다 판단하고 있었다. 또한 지자체가 실직자를 위해 재취업을 위한 기술교육(34.2%)과 정보제공(32.9%)을 많이 해주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부문에서는 친환경제품의 구매와 관련해서는 구매의사가 불투명한 응답자가 51.8%로 많아 적극적인 홍보와 구매 장소 제공 등이 필요한 것으로 응답했다.
보건ㆍ체육 부문에서는 51.5%가 건강보험료를 많이 납부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의료비는 의료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비해 55.5%가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부문에서는 다문화가족에 대해 44.0%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의사소통에 따른 문제점은 감소한 반면, 문화적인 차이로 생기는 문제(31.5%)와 편견 같은 사회적 문제(22.8%)는 증가 추세로 나타났다. 교육 부문에서는 방과 후 학내의 과외 활동을 위한 시설 확충(31.4%)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정보화 부문에서는 인터넷 정보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57.4%가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부터 매년 시행되어 오는 경남 사회조사는 경남도 18개 시군에서 동시에 실시되며 도민들의 사회적 관심과 생활 수준 등을 조사해 정책 개발 및 대책 등을 입안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고성군은 지난 22일부터 9월 14일까지 900가구를 대상으로 2012년 경남 사회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