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지역명칭 없어져 역사성 정체성 상실 우려 군민들 심사 숙고 해야
고성·통영 통합반대 군민추진위원회가 발대식을 갖고 본격적인 통합반대 운동에 나섰다.
고성·통영 통합반대 군민추진위원회(공동대표 황영주)는 지난 11일 오후 농어업인회관에서 발대식과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발대식에 경남도의회 김대겸, 하학열 의원, 안권욱 지방분권운동 경남본부집행위원장, 하만희 농업경영인연합회장, 조춘길 경우회장, 서정수 거류면대책위원장, 이석재 고성군체육회사무국장, 박충웅 소가야문화보존회장, 김석원 JC청년회장, 이용재 문화원사무국장, 김수일 민주평화통일고성군협의회장, 황영국 외식업협회장 을 비롯한 사회단체장 등 50여 명이 참여했다.
황영주 공동대표는 기자회견에서 “통합이 되면 고성의 명칭과 문화적 혼이 사라지고, 인구20만이 되지 못해 군청, 의회, 보건소, 교육지원청 등 현재 고성지역 경제의 지주대 역할을 하고 있는 관공서 페지와 함께 서민경제 침체가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공서비스의 질 저하와 지역낙후는 물론 재정감소에 따른 지방세 부담의 증가가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2011년 일반회계 기준 통영시 예산 4천365억원 고성군 예산 3천28억원 합계 7천403억원이지만 통합 4년 후에는 사천시 경우에 비추어 볼 때 1천500억원 이상 예산규모가 크게 줄어들어 우리 군은 상대적으로 낙후 될 것이며 주민복지는 뒷걸음을 칠 것이 예상된다.
그러면서 “통합 이후 화합과 상생보다는 지역간의 갈등과 대립 그리고 반목만 가중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추진위는 결의문을 통해 “통합 후에도 인구 20만이 되지 못해 별다른 혜택도 받지 못하고 특히 통영시의 들러리로 전락할 것이 뻔한 그런 통합은 결사반대 한다”고 말했다.
최규범 대책위원장은 “앞으로 3만부를 제작해 각 읍면을 돌며 위원들이 배포할 것이며 반대하는 사람과 찬성하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며 “현재 이해를 잘 못하고 있지만 군민들이 이해 할 수 있도록 적극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성·통영통합반대추진위는 지방분권운동경남본부 안권욱 집행위원장을 초청해 ‘고성·통영 통합반대의 당위적 논거’란 주제의 강의도 진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