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사무소 당운영 경비 조달 애로도
한나라당 통영·고성지구당개설 이래 최대 시련을 겪고 있다.
이번 공천 헌금사건은 예고된 일이 벌어졌다는 풍문이 나돌 만큼 시한폭탄이 내재됐던 일이었다.
문제는 김명주 국회의원이 고성지역의 당 운영에 대한 미숙함과 소홀감이 화를 불렀다는게 당원들의 의견이다.
김명주 의원도 기자회견에서 당선된 후 2호 광장 부근에 있던 당연락사무소를 폐쇄했다. 그러나 5.31지방선거를 치르기 위해 부득이 고성사무소가 필요해 다시 마련해 운영해왔으나 사무소장과 당직자들을 믿고 맡겨둔 게 이 같은 큰 누를 범하게 됐다며 자신의 고성사무소 관리부재를 시인했다.
김명주 의원은 지난 국회의원 선거 이후 당 분위기를 쇄신하기 위해 통영사무소에서 고성의 자금 지출을 통합 관리하려했으나 그리하지 못하고 믿고 맡겨둔 것도 잘못이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한 소장이 중책을 맡고 있는 데다 당원, 당직자 전체를 관리할 수 없어 일부 당원, 당직자의 개인역량을 신뢰해 고성사무소를 운영해왔다는 것이다.
김동욱 국회의원시절부터 고성연락사무소를 맡아 온 한 소장이 어려운 연락사무소를 꾸려가기 위해 공천내정자들에게 당 운영경비를 자발적으로 부탁했던 것으로 보인다.
검찰조사에서 한 소장은 체육회 사무국장을 맡아 오면서 기탁된 후원금 일부도 불명확하게 사용한 정확히 포착돼 이 문제가 체육회 운영경비 비리까지 불거질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여기에 김명주 의원이 이번 5.31 공천과 관련 한 소장에게 기초조사, 후보자검증 등 맡은 권한을 위임해 ‘제2의 대리인’ 역할을 해온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그러나 공천발표가 임박하자 항간에는 공천헌금을 내야 공천받는다는 소문이 무성하기 시작했다.
이번 일이 터지자 고성지역주민들은 충격 속에 한나라당 이 정말 지역민들에게 희망을 주는 정당으로 환골탈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편 이번 일을 계기로 관행된 공천헌금, 유권자매수 등 불법선거 풍토가 사라지길 기대하는 분위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