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고성군은 재해위험지구로 상리면 오산과 삼산면 두포지구 2곳을 소방방재청에 신청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20일 고성군청 중회의실에서 재해위험지구지정 검 토위원회(위원장 김창호 부군수)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상리면 오산, 삼산면 두포, 고성읍 율대지구 세 곳이 심의됐으며 고성읍 율대지구를 제외한 2곳이 선정됐다. 검토위원회는 논의를 거쳐 율대지구가 농경지 침수 다발 지역임은 확실하나 인명 및 주거지 보호를 우선하는 재해위험지구지정의 취지에 맞지 않고 사업 효과의 불확실성에 근거해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상리면 오산지구는 사천강, 상동천, 오산소하천의 세 하천 합류부에 위치해 있으며 통수단면이 부족하고 홍수위보다 제방고가 낮아 하천 수위 상승 시 잦은 침수가 발생해 위험 등급이 최고 등급인 가등급으로 보고됐다. 군은 사업비를 44억여원으로 추정되며 700m의 노후제방을 정비하고 건물 7동을 보상 및 철거해 인명 및 주거지 보호를 하게 된다. 재해위험지구 지정 시 사업비는 국비 60%, 지방비 40%로 사업이 추진된다.
삼산면 두포지구는 지방도의 사면이 급경사로 집중 호우 시 토사유출로 인근 주택 및 축양시설의 피해가 수차례 발생해 위험등급이 나등급으로 매겨졌다. 추정사업비는 32억여원이며 길이 500m, 높이 10~50m의 사면을 사면 보호 게비온 옹벽 및 낙석방지책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군은 밝혔다. 고성읍 율대지구는 율대천의 통수단면이 부족하고 홍수위가 제방고보다 낮아 과거 태풍이나 집중호우 때 잦은 침수를 겪은 이력이 있으나 위험등급은 다등급으로 매겨져 재해위험지구지정 신청에서 제외됐다. 군 관계자는 “율대지구가 재해위험지구 선정에 제외된 것은 아쉽지만 위험등급이 낮을 경우 사업 추진이 후순위로 늦어지고 다른 지원이나 사업에 선정되지 않아 개선사업이 너무 늦어질 수 있다”며 “소하천 정비 사업과 같은 다른 방법으로 율대지구 침수위험지역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위원들은 수남리 침수지역과 해일위험지구의 검토를 군에 요청했으며 군은 위원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철저한 검토를 약속했다. 오산과 두포재해위험지구는 차후 소방방재청 심의의원회의 타당성 및 우선투자지역 지정의 필요성 등에 대한 현지실사를 실시해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