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학생들의 주거난이 지속적인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고성출신 대학생들의 주거지원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성군 출신으로 수도권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매년 50명 가량으로, 군입대 등을 제외한다고 해도 300명 정도의 학생들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내 대학에 재학 중이다. 최근 들어 서울의 임대주택난이 점차 심해지면서, 원룸 월세 등을 계약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는 이야기마저 나오고 있다. 특히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못한 저소득층 대학생의 경우 월세 보증금 마련이 쉽지 않은데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등록금으로 인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일부에서는 친구나 친척집을 전전하며 며칠씩 생활하는, 일명 ‘메뚜기족’까지 등장해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에서는 지방 출신 저소득층 대학생을 우선순위로 하는 대학생임대주택 9천여세대에 대해 신청을 받았으나 1차에서 2만2천여명이 신청하는 등 해결방법 마련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학부모 김모씨는 “오는 3월 서울시내 모 대학 입학을 앞둔 딸이 있는데, 몇 해 전만 해도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20만원선이던 원룸 월세가격이 두 배 이상으로 상승해 학교 기숙사를 알아봤지만, 성적순으로 신청접수하기 때문에 이마저도 입주가 쉽지 않아 당장 어디서 거주해야할지 막막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김씨는 “고성보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거창이나 구례 등 다른 지역에서는 지역 출신 대학생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학숙을 건립해 싼 임대료로 일정기간 거주할 수 있도록 한다고 들었는데, 고성에서는 미국 유학에만 치중할 뿐 지역 출신 학생들을 위한 실질적 혜택은 크지 않아 실망스럽다”며, 교발위 목적사업 등으로 대학생들의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했다.
실제로 거창이나 광주, 전주, 구례 등에서는 각 지자체에서 사업비를 투입해 입사비 5~10만원, 월 임대료 10~15만원선인 지방학숙(사)를 운영하고 있다. 특히 이들 지역 중 거창은 15.7%인 고성의 재정자립도보다 낮은 10.7%의 재정자립도를 보이고 있고 구례는 11.0%로, 지방학숙을 운영 중인 다른 군지역은 고성보다 낮은 재정자립도를 보이고 있다. 김씨는 “고성군의 재정만으로 힘들다면 도에 건의를 해서라도 대학생 임대주택을 마련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다른 지역의 사례와 서울 및 수도권의 임대주택난을 면밀히 분석해 대안을 마련해줄 것을 요청했다.
고성군 교육복지과 관계자는 “현재 고성 출신 대학생들이 겪고 있는 임대주택난을 군에서도 잘 알고 있고, 이에 대한 대책 수립이 필요한 것은 인지하고 있지만 아쉽게도 아직까지 고성군은 지역출신 대학생들을 위한 주거지원과 관련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 세워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지방학숙을 건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절차상의 문제와 재정상의 문제 등이 쉽지만은 않기 때문에 섣불리 접근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라며, “다른 지역과의 면밀한 비교분석을 통해 곧 대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