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 이 기사는 경남지역신문발전위원회 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글 싣는 순서 1. 70년 노하우 바람길로 60만 시민 숨통틔운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2. 골칫거리 축산 쓰레기, 이제 노다지를 캔다 -독일 마우엔하임 3. 태양과 바람으로 돈을 부르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4. 오토리브, 친환경 교통수단 전기자동차 시대 ‘개막’ -프랑스 파리
풍력·지열·태양열·바이오 연료… 세계는 신재생에너지 개발 붐 100가구 430명 마우엔하임, 소똥과 풀로 필요전기 10배 생산 주민 만장일치 바이오매스설비, 온수 100% 공급… 세계 주목
# 천년이 넘는 역사, 하지만 내비게이션도 못 찾는 작은 마을
독일 남쪽 스위스 국경을 건너기 전 세계에 환경도시로 유명한 프라이부르크가 있다. 이 도시에서 정동쪽으로 이동, 흑림(Schwarzwald)을 통과하고 한참 이동하면 유명한 휴양지인 유럽에서 가장 크다는 호수, 보덴제(Bodensee)가 펼쳐진다. 보덴제에 도착하기 전 작은 마을이 바로 마우엔하임(Mauenheim)이다. 지역적으로 휴양지여서 가는 길도 아름답고 볼 것들도 많다. 기자가 방문한 지난 7일은 눈보라가 몰아쳐 독일 제1 환경 수도 프라이부르크에서 국도로 꼬불꼬불 산길을 따라 2시간을 달렸다. 크리스마스 카드 속 풍경에 자주 등장하는 독일 경사지붕이 차창밖으로 펼쳐진다. 경사지붕이 아름답다고만 생각했는데 한껏 눈을 뒤집어쓴 지붕을 바라보니 왜 독일에 경사지붕이 많은지 이해가 됐다.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혜라는 것을. 흑림 협곡 사이로 조용히 펼쳐지는 풍경을 감상하다보면 어느덧 에너지 자립마을로 잘 알려진 마우엔하임에 도착한다. 아주 작은 마을로 깜박 그냥 지나치기 십상이다. 이곳을 방문하는 사람은 지도를 잘 보고 위치를 파악하면서 들어와야 할 정도로 아주 작다. 내비게이션에 의지, 마을까지는 찾을 수 있으나, 정작 보고 싶은 바이오매스 시설을 찾기는 상당히 어렵다. 길이 아니어서 내비게이션은 도움이 안된다. 마을 사람에게 물어 찾아야 한다. 유럽의 관문인 프랑크푸르트를 중심으로 이 마을을 본다면 프랑크푸르트 정남쪽으로 약 280㎞ 정도를 내려와서는 정동으로 이동 70㎞를 더 가는 길이다. 대각선으로 내려오는 자동차의 도시 슈투트가르트를 지나서 남쪽 보덴제 방향으로 이동한 것이다.
# 100가구 430명 주민, 소똥 옥수수로 바이오가스 생산 필요 전기 10배 생산, 우드칩 보완… 남는 열 난방
마을은 100가구 430명의 주민이 있다. 973년 라이헤나우(Reichenau) 수도원을 통하여 역사에 등장, 천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독일 16개 주 가운데 바덴 뷔텐베르그주로 이 주에서는 에너지 자급마을로 가장 먼저 시작하고, 독일에서는 윈데마을 다음으로 시작했지만 시스템에서는 훨씬 앞선다. 2006년 11월 12일부터 바이오매스를 이용, 전기를 만들고 나무 조각을 태워 열을 내는 우드칩과 태양열을 통한 난방에너지를 처음 시작했다. 바이오매스 설비는 500㎞의 설비이며, 연간 400만㎾/h를 생산한다. 이 양은 100가구가 사용하는 전기의 9∼10배를 생산하는 양이다. 이는 곧 타 지역 주민 4천여 명이 더 쓸 수 있는 양이다. 전기를 만들 때 생기는 열을 이용하는데, 이 열은 350㎾/h를 만든다. 이 열은 주민 난방으로 사용되며, 마을 전체에 깔아놓은 난방파이프를 통해 주민들에게 제공된다. 이 바이오매스 설비 열병합에너지 발전은 연 6천500톤의 농작물을 필요로 하는데, 180㏊의 면적에서 나오는 옥수수, 곡식, 잡초이며, 마을 250마리의 소 축사에서 나오는 분뇨를 섞어 숙성시켜 가스를 만들어 내고 있다. 우드칩 난방설비는 1MW 정도의 설비로 항시 사용하는 설비는 아니다. 바이오매스로 항시 일정하게 필요한 전기와 열을 공급한다. 1년 가운데 난방이 급증하는 겨울에 부족분을 채우려 가동되는 설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나무는 인근 흑림 잡목들을 잘게 잘라서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또 다른 계절에는 남는 열을 이용, 곡식 등을 말리는 데도 사용, 일석이조의 효과다.
# 난방용 파이프 마을 전체 설비 총 8㎞ 주민 만장일치 회의 결정, 온수도 제공
난방용 파이프는 마을 전체에 설치돼 있다. 총 길이가 4㎞, 왕복 8㎞이다. 마을은 점점 인구가 늘어 새 건축물들이 들어오는 지역까지 예상해 파이프 공사를 전부 끝냈다. 전체 마을 주민들의 만장일치 회의를 통해 결정된 이 사업은 현재 66가구에게 따뜻한 온수와 난방을 제공하고 있다. 이외 다른 가구는 건물상의 문제가 있거나, 산을 가지고 있는 가구로 자신들의 산에서 나오는 나무를 땔감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가구이다.
# 광 발전 시스템, 마을 단독 전력량 4배 생산
이 마을에는 프로젝트의 시민투자 참여자를 모집, 66㎾의 새로운 광발전 시스템도 설립했다. 이 시스템은 이 마을에 연간 6만㎾/h 이상을 제공한다. 이미 마우엔하임 전기 사용량의 1/4를 공급하는 기존의 260㎾ 태양발전 용량과 함께 이 태양발전 시스템 단독으로 마을 전력 수요의 거의 4배를 생산하는 셈이다.
# 바이오매스 개인이 투자, 연 60만 유로 매출 지역난방, 마을 주민이 사업자 모색…현실화
이 마을에 신재생에너지 차원에서 설비된 내용들은 크게 2가지로 요약된다. 전기생산을 위한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발전설비와 지역난방을 위한 설비이다. 특이한 사항은 전기 생산을 하는 바이오매스설비는 순수하게 개인이 투자를 해 만들어 전기를 판매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마을 3개의 농가가 이 설비 주인이다. 이 농가는 대표자 3명의 이름의 이니셜을 따서 KCH 천연가스 주식회사를 만들었다. 이미 다른 지역에서 설비하고 성공적으로 하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전기생산을 위해 자신들이 농사를 짓는 농작물과 자신들의 축사에서 나오는 분뇨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설비를 한다. 개인이 이 사업을 시작,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사례이다. 총 140만 유로(한화 21억여원) 설비비가 들어가며, 지금은 독일 EEG법(전력매입법)으로 전기를 판매한다. 연 60만 유로(9억여원)의 매출이다. 관리도 자신들이 직접 하는 방식이다. 하루 평균 3시간 정도만 와서 오전에 트랙터로 농작물을 가스통에 투입하고 오후에 한 번 또 투입하면 일이 끝난다. 물론 설비들의 정기 검사는 전문인들이 정기적으로 하는데, 거의 사람이 없이 운영하는 전자동 시스템이다. 이 전기 만드는 바이오매스설비는 개인이 사업적 목적으로 만들어 운영하는 것이 다른 에너지 자립마을과의 차이점이다. 반면, 지역난방 사업은 처음 마을주민들이 신재생에너지로 지역난방을 바꾸고 싶다는 의견을 모아 사업자들을 찾으면서 현실화됐다. 특이하게도 이 업체는 설비와 파이프 그리고 주민들의 집에 들어가는 설비까지 무상으로 만들어 준다. 이러한 설비들을 만들어 지역난방을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주민들에게 난방비를 받는 조건이다. 주민들은 기존과 같은 난방을 사용하면서 비용면에서는 예전 난방과 온수로 들어가는 비용의 절반만 지불한다. 그것도 20년 장기적으로 요금이 동결, 에너지값이 오르든 말든 아무런 비용의 상승 없이 20년간 같은 금액을 내고 사용한다.
# 마을 수입은 과연 얼마나 될까? 3천톤의 CO₂ 절감, 주민 절반 비용 연간 30만리터 석유 절약, 20만 유로
이 마을이 상당한 사업비를 투지했는데, 수입은 과연 얼마일까. 우선 이러한 모든 일과 사업들이 수익을 올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처음의 시작은 지구 환경보호, 지구 온난화를 막는 사업들이다. 이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이 마을은 총 3천톤의 CO₂를 절감한다. 실제 투자액은 바이오매스 설비로 140만 유로, 태양전지판설비와 우드칩 히터용 보일러, 그리고 난방파이프 비용으로 160만 유로가 들어갔다. 이 중 설비는 지역소유투자그룹 Solar Komplex사가 안고 전체의 설비를 하고, 난방파이프 그리고 가구마다의 난방 계량기 설치를 했다. 그 결과 현재 이 마을은 30만 리터 이상의 연료 오일을 절약하고, 현재 석유가격으로 연간 약 20만 유로(3억여원) 정도의 비용을 상쇄 시킨 것이다. /독일 마우엔하임=황수경 기자
“녹색에너지 바이오가스는 100% 저장된 태양에너지”
KCH 천연가스 주식회사 에리히 헤닝거 공동대표
“우리 마을의 녹색 에너지 바이오매스 시설은 100% 저장된 태양에너지로, 완벽한 구조입니다.” 독일 최초의 완벽한 바이오 자립마을 마우헨하임에 에너지 공급을 담당하는 민간사업자 KCH천연가스 주식회사 에리히 헤닝거(Erich Henninger·56) 공동 대표. 눈비가 오는 가운데에서도 축사 폐기물 발효시설과 온수를 만드는 모터 기계 소리 윙∼윙 거리는 바이오매스 설비 안에서 바이오 에너지에 대한 설명에 여념이 없다.
그는 “태양이 비치면 풀이 자라고, 그것을 말이나 소가 먹고 소똥이 나오면 풀과 사료용 옥수수를 섞어 바이오에너지를 만들어 마을 사람들이 편리하게 전기나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한다. 하루 24∼25톤 가량의 축사 폐기물을 발효시켜 용광로에 저장하고, 발효기계에 섞어 가스를 탱크에 저장, 발전기 동력을 이용, 전기와 온수를 생산하는데 약 6주가 걸린다. 그 폐기물은 다시 아무 냄새없는 액화 거름으로 인근 농가에 무상 배포, 자연으로 다시 되돌아가는 저장된 태양에너지라고 거듭 강조한다. 또 시간당 500㎾/h 전기를 생산해 내는 이 바이오 에너지는 연간 400㎾/h 전기를 생산, 환경오염이나 그 어떤 불안 없이 원자력 1기와 맞먹는 전력을 만들어내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투자적 가치는 물론 환경보호 차원에서 시작한 이 사업은 제1차 주민 설명회에서 40% 이상이 찬성했고, 마지막에는 만장일치로 합의, 수월하게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주민은 일단 가격, 비용, 편리성에서 기존 전기보다 훨씬 앞서고, 20년간 비용인상 없이 전기와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선택했고, 투자자인 자신들은 마을 필요량의 10배가 넘는 잉여 전기를 전기회사에 되팔아 매년 10% 이상의 수익금을 내는 구조면에서도 만족스럽다고 말한다. 이는 곧 “에너지 자립마을이 곧 지구의 미래”라는 친환경 에너지 비전에 대해 서로 공감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