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고성신문 | |
농민들, 품위검사기준 확립, 수확일정 조정, 건조비 지원 등 요구
올해 생명환경농업이 4년차에 이르면서 정착되어 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개선되어야 할 문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환경농업 벼 재배 종합평가회가 지난달 30일 농업기술센터 농민교육관에서 생명환경단지 회장, 읍·면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돼 생명환경농업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평가회에서 이수열 소장은 “올 한 해는 ‘농사는 하늘이 짓는다’는 말을 더욱 실감할 수 있었다”며 올해 6월과 7월에 많은 비가 내려 흉작이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후기 날씨가 좋아 지난해대비 10a당 50㎏ 이상 생산되는 등 평년작 수준으로 생산됐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생명환경농업이 4년차에 접어들어서도 아직까지 토양미생물을 사용하지 않는 단지가 있다”며 생명환경농업에 가장 중요한 것은 토양기반조성임을 강조했다.
또 “생명환경농업은 다수확을 목적으로 하는 농업이 아니라 고품질 쌀을 생산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올해 10a당 700㎏ 이상 벼를 생산한 단지”는 문제가 있는 단지라고 말했다. 그는 “다수확의 욕심을 버리고 고품질 쌀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해야 된다”며 내년부터는 과도한 질소질사용은 사양하고 전단지에서 토착미생물을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허주 경남쌀연구회 부회장은 “생명환경농업이 4년차에 접어들었지만 아직까지 키다리병으로 고생하는 단지가 있다”며 생명환경농업 단지민들도 전문성을 가지고 자립할 수 있어야 된다고 지적했다.
또 “모 언론에서 생명환경농업단지 전체에서 농약이 검출된 것처럼 오보가 나 관계자들이 항의방문을 하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며 생명환경농업단지의 농약검출은 고성의 생명환경농업의 이미지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는 것이므로 농약이 검출된 단지는 퇴출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수열 소장은 “올해 상촌단지에서 농약성분이 검출돼 단지 전체가 생명환경농업단지에서 제외돼 보조금도 못 받았다”며 생명환경농업단지에 대해서는 철저한 검사를 통해 농약성분이 조금이라도 검출된 곳은 단지에서 제외시키므로 앞으로는 이런 일이 절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영오면 성산 김수현 단지대표는 “올해 수확적기에 벼를 수확하지 않는 바람에 벼에 수분이 많아 건조비용도 많이 드는 등 손해를 봤다”며 내년부터는 새고성농협과 각 단지별로 수매일정을 조정해 수확적기에 맞추어 벼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건의했다. 대가면 유흥단지 강극 대표는 “벼 수매등급을 정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올해 벼 수매 시 2등급과 등외품을 받은 벼를 도정하니 쌀이 정말 좋아 시중에 비싸게 판매했다”며 벼 수매등급을 정하는 기준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수열 소장은 “지난해까지는 생명환경농업단지의 벼를 모두 다 가져 갔지만 올해 처음 등급을 정하다 보니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며 내년부터는 전문성을 갖춘 사람이 좀 더 체계적으로 검사를 하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쌀전업농 김상준 회장은 “생명환경농업의 벼 재배품종을 키가 큰 품종으로 선정하여 질소질이 과다 투입될 경우 도복이 발생하도록 해야 된다”며 생명환경쌀도 이제는 명품브랜드로 거듭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성군농민회 안태완 회장은 “벼 산물수매 시 농민들은 건조비용이 비싸 부담이 되고 있다”며 건조비용을 보조해주는 시군도 있어 고성군에서도 지원을 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수열 소장은 “고성군에서는 건조비용 대신 벼포대를 지원하고 있다”며 다른 시군에 알아보고 지원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고성군농업기술센터에서 발표한 올해 생명환경농업 벼 재배 종합평가 자료에 의하면 벼 재배면적은 당초 611㏊에서 농약성분이 검출된 단지 2개소 12.8㏊와 면적조정을 한 1.6㏊를 제외한 596.6㏊에서 벼를 재배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생산량은 일반벼 2천73톤, 찰벼 1천793톤이며, 개천면 청광단지가 10a당 가장 많은 770㎏을 벼를 생산한 것으로 집계됐다. 단지별 쌀 품질현황에서는 대체적으로 고성독실단지가 단백질 함량 5.9%, 완전립 94.15%로 다른 단지에 비해 비교적 좋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도 생명환경연구소에서는 생명환경농업 벼 재배 실증시험 연구결과 보고회도 실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