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와 고성군 거제시 통합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대통령 직속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위원장 강현욱·이하 개편추진위)가 도내 통영 사천 밀양시와 의령 을 통합대상 후보지로 선정했다. 전국 80개 시군구가 통합 대상이 될 수 있는 ‘시군구 통합기준 연구 용역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지자 해당 시·군과 국회의원 등 이해 당사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통영시(14만364명), 사천시(11만6천223명) 밀양시(10만9천577명) 등 3개 시는 일반시 15만명 선에 못 미치고, 의령군은 인구 3만162명으로 군 하한선 3만3천명에 미치지 못한다. ‘연구 용역안’에 따르면 시군구의 인구와 면적의 규모 등에 따라 최소 20개~최대 80개 시군구가 통합 대상이 된다.
인구 규모는 △특별시 자치구 27만6천명 이하 △광역시 자치구와 일반시 15만명 이하 △군 3만3천명 이하이며, 면적 규모는 △특별시 자치구 16.2㎢ 이하 △광역시 자치구 42.5㎢ 이하 △시군 62.46㎢ 이하이면 통합 대상에 포함된다.
통영시가 통합하면 거제시와 고성군과 해야 하고 의령군은 함안군이나 합천군과 통합하는 방법, 밀양시는 김해시나 창녕군과 통합이 가능하다. 고성군은 통영시와 통합 논의가 계속되어 왔기 때문에 통영 고성 통합은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거제시의 경우 통영 고성과 반대분위기가 많아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이들 지역이 인근의 어느 지자체와 통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이 같은 내용이 알려지자 해당 시·군은 사태 파악에 나섰으며, 이들 자치단체를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실에서는 통합 대상에 거론된 데 대해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조진래(함안·의령·합천) 의원실 관계자는 “개편추진위에서도 아직 정리되지 않은 안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의령이 인구 3만여명으로 도내에서 가장 적지만, 나름의 역사와 전통이 있다. 일방적인 추진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군현(통영·고성) 의원실 관계자는 “지금까지 나온 내용을 보면 14만명가량인 통영을 고성이나 거제 등 인근 어디로 통합하려 한다는 내용인 것 같은데,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더 파악해 봐야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