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2025-07-11 14:56:2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특별기고
  최종편집 : 2025-07-11 오후 02:55:11
출력 :
[특별기고] 러시아 하바로프스크주를 다녀와서(2)
17일 아침에도 느끼한 요리가 나왔다. 나는 ‘컵라면이라도 사올 걸’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처음 승마학교에 갔는데 우리 또래의 학생으로 보이는 애들이 말을 능숙하게 잘 타서 감탄을 하였다. 우리에게도 말을 탈 기회를 주었지만 나는 시간이 없어서 타지 못하였다...
/이도학철성3학년 기자 : 2007년 08월 31일
[특별기고] 내인생의 사주팔자(9)
명리학(命理學)은 인간의 생년월일시의 四柱에서 시(時)의 숙명의 굴레를 기본으로 하여 그 인간의 “모든 것”을 판단하는 점술(占術)이다. 이 四柱는 달력상의 天干地支를 배합한 것을 명식(命式)이라 하고, 그 天干의 좌우의 상호관계와 地支의 좌우의 상호관계, 天干과 地支의 상하의 상호관계를 보는 것이다...
유남현호림철학관원장 기자 : 2007년 08월 25일
[특별기고] 군정연장 반대 고성투쟁위원회 조직
# 내가 아는 숨은 고성 민중사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장군의 군사 쿠데타 시 혁명공약에 의하여 순수한 민간인에게 정부를 이양한다는 약속을 하였다. 1962. 2. 27 민정이양 선언을 하고 발표한지 며칠 되지 않는 3.16 번복하여 군정을 4년간 더하겠다고 발표했다. ....
문승찬상리면독자 기자 : 2007년 08월 25일
[특별기고] 살아 있는 '갯벌 체험' 생태보존 소중함 일깨워
고성읍주민자치센터에서 개최하는 “걸어서 갯벌가자” 체험학습에 참가하기 위해 우리는 남산으로 향했다. 남산에 약속시간보다 1시간 일찍 도착했다. 3학년 때 남산에 왔을 때는 바닥이 흙이었는데 지금은 보도블록이 깔려있고 깨끗하게 단장되어 있었다. 우리는 남산을 탐색하기로 했다...
/고성신문 기자 : 2007년 08월 24일
[특별기고] 러시아 하바로프스크주를 다녀와서(1)
나는 이번에 경상남도에서 지원하는 ‘2007년 청소년국제교류’에 동참하여 러시아 하바로프스크에 다녀왔다. 작년에 러시아 청소년들이 경상남도를 방문했을 때 홈 스테이도 하고 여러 행사에 참가했는데 그것과 연계하여 올해는 우리가 러시아로 간다는 것이다...
고성신문 기자 : 2007년 08월 24일
[특별기고] 1318 사랑의 열매캠프 소중한 시간
지난 7월 25~27일 동안 나는 2007 MBC 1318사랑의 열매캠프에 참가 했다. 짧지만 긴 따분한 여름방학기간 속에서 솔직히 할 일도 없고 그냥 오랜만에 좋은 일 한번 해보자는 가벼운 생각으로 친구와 함께 신청을 했다...
고성신문 기자 : 2007년 08월 24일
[특별기고] 인생을 바꾸는 7가지 성공에너지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성공에너지란 무엇일까? 파출소 책장서랍사이에 놓여져 있는 이 책은 나에게 궁금증으로 다가왔다. 7가지 성공에너지를 말하고 있는 이 책은 IMF로 힘든 시기에 빠져 위기에 빠진 사람들에게 희망과 승리의 확신을 심어주기 위해 쓰인 책이었다...
고성신문 기자 : 2007년 08월 24일
[특별기고] 여름철 피서지 안전사고 대비
바야흐로 또다시 여름이 찾아왔습니다. 한여름의 무더위 속에서도 온 가족과 함께 휴가를 떠나는 사람들은 즐겁기만 하지만 휴가철에는 아무래도 물이나 음식, 잠자리 등이 바뀌게 되면서 여러 가지 질병에 걸릴 위험이 커지고, 물놀이나 산행등을 하다가 몸에 상처를 입은 경우도 많이 생기는 등 즐거워야 할 휴가가 자칫 고통 받는 휴가가 될 수 있으므로 항상 안전에 ..
해경파출소장(정상우) 기자 : 2007년 07월 20일
[특별기고] 경계해야 할 중국의 동북공정②
김진환 국학원 경남지부 이사 <①에 이어> 우리가 자력으로 통일을 이룬다면 가만히 있지 않을 거란 이유는 우리 주변국이 과거 우리에게서 자기들 식으로 단맛을 톡톡히 본 적이 있기 때문이다...
/고성신문 기자 : 2007년 07월 13일
[특별기고] 내인생의 사주팔자(5)
육갑(六甲)에 쓰이는 글자는 천간(天干)과 지지(地支)가 있다.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간지(干支)라 하는데, 간(干)은 줄기[幹], 지(支)는 가지[枝]를 의미한다..
/유남현호림철학관원장 기자 : 2007년 07월 06일
[특별기고] 경계해야 할 중국의 동북공정①
중국의 문화·역사적 침략이 그 끝을 모르고 우리를 향해 달려든다. 2여 년 전만해도 만주 집안이나 길림등지에서 야수를 드러내더니 이제는 아예 한강이북을 내놓으라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김진환국학원경남지부이사 기자 : 2007년 06월 29일
[특별기고] 고성인의 기모아 조선산업특구 유치하자
지난해 ‘2006 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하면 된다’는 자신감과 용기백배의 저력을 바탕으로 올해 2007년은 조선산업특구유치를 위하여 온 힘을 한 곳에 모아서 기필코 성사시켜야 한다...
/백종신상리면독자 기자 : 2007년 06월 29일
[특별기고] 원하는 것 VS 필요한 것
대형마트가 생기기 시작하면서부터 생활양식에 변화가 왔다. 동네 중형 슈퍼에 비하면 거리면에서 훨씬 먼데도 우리들은 언제부터인지 대형마트를 이용하게 되었다...
/이유정고성신문독자 기자 : 2007년 06월 22일
[특별기고] 자연과 환경에 대한 배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 대한민국은 정말 낚시할 장소가 많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 싸여 있고 수많은 방파제들이 있다. 거기에다 수천 개의 크고 작은 섬들과 수만 개의 갯바위를 거느리고 있어 많은 바다낚시터를 제공하고 민물도 각 지역마다 유유히 흐르는 강들이 있고 강의 흐름을 막아 놓은 대형 댐과 호수들도 많다...
/정상우통영해경고성파출소장 기자 : 2007년 06월 22일
[특별기고] 내인생의 사주팔자(3)
오행(五行)의 상호관계는 상생(相生)관계와 상극(相剋)관계로 대별된다. ▲상생(相生)관계 ⇒ 母子관계는 다음과 같다. 어머니(母)는 언제나 주는(生을 하는) 者이고 자식(子)은 언제나 받는(生을 받는) 者이다...
/유남현호림철학관원장 기자 : 2007년 06월 15일
[특별기고] 두 개의 와룡산(臥龍山)에 숨은 이야기②
와룡산(臥龍山)에 숨겨져 있는 이야기는 고려 제 8대 임금 현종(顯宗)의 이야기로 현종(顯宗)이 출생 후 어린 시절을 사천(泗川) 와룡산(臥龍山)의 와룡사(臥龍寺)에서 보냈고, 현종(顯宗)의 아버지 욱(郁)이 귀양살이 한 곳이 바로 이 사천(泗川) 와룡산(臥龍山)의 배방사(排房寺)이다...
/하기호고성향토연구사 기자 : 2007년 06월 15일
[특별기고] 생로병사 떠나 살 수 없는 게 인간의 육체
인간이라면 누구나 장수를 바랄 것이다. 우리는 우리자신을 알기 위해서는 생명을 알아야 하고 생명을 알기 위해서는 식물을 알아야 한다. 식물의 힘은 위대하다...
/허향자고성신문주부기자 기자 : 2007년 06월 15일
[특별기고] 두 개의 와룡산(臥龍山)에 숨은 이야기①
(1) 두 개의 와룡산(臥龍山) 예부터 내려오는 지명(地名)이나 산(山) 이름이 중간에 여러 가지 이유로 바뀌는 수가 간혹 있다...
/하기호고성향토사연구사 기자 : 2007년 06월 09일
[특별기고] 내인생의 사주팔자(2)
앞 시간에 사주팔자(四柱八字)는 木 · 火 ·土 ·金 · 水 오행(五行)으로 이루어져 있고 명리학(命理學)은 네 기둥(四柱) 여덟 글자(八字)에 담겨져 있는 오행(五行)의 상호관계를 풀어내는 학문이라고 설명했다...
/유남현호림철학관원장 기자 : 2007년 06월 09일
[특별기고] 뼈아픈 우리 역사의 환향녀
요즘은 잘 돌지 않는 말 중에 환향녀라는 말이 있고 그 말은 화양년, 화장년, 양년 양색시라는 말로도 변했다. 여성를 비하하는 이 말은 우리의 뼈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단어이다...
/김진환국학원경남지부이사 기자 : 2007년 06월 01일
      [11] [12] [13] [14]  [15]  [16] [17] [18] [19]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만평
상호: 고성신문 / 주소: [52943]경남 고성군 고성읍 성내로123-12 JB빌딩 3층 / 사업자등록증 : 612-81-34689 / 발행인 : 백찬문 / 편집인 : 황수경
mail: gosnews@hanmail.net / Tel: 055-674-8377 / Fax : 055-674-8376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남, 다01163 / 등록일 : 1997. 11. 10
Copyright ⓒ 고성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함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찬문